❗문제점
이 방식은 사전에 키를 공유해야만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직접 만나 키를 전달해야 했기에, 인터넷 시대에는 부적절했습니다.
사전에 만나지 않고도 안전하게 통신할 수 없을까?
이 아이디어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공개 키 암호화 두 개의 키(공개 키와 개인 키)를 사용하여, 누구나 메시지를 암호화할 수 있고, 오직 개인 키를 가진 사람만이 이를 복호화할 수 있게 했습니다.
✔️ 비대칭 키 구조 덕분에,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디지털 서명, 블록체인, 전자상거래, 인터넷 보안 등의 기반 기술이 되었습니다.
공개 키 암호화는 단순히 메시지를 숨기는 것뿐 아니라, **"이 메시지를 정말 이 사람이 보냈는가"**를 증명할 수도 있습니다.
그 이유는 개인 키로 서명된 메시지는, 해당하는 공개 키로만 검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
✔️ 이것이 바로 디지털 서명(Digital Signature) 위조가 불가능하고, 서명자가 누구인지 명확하며, 메시지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.
블록체인에서는 이 기술이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.
❔ ETH: 이더리움의 공식 암호화폐
💡 브로드 캐스트 단순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서명된 데이터를 전 세계 모든 참여자에게 동시 전달하는 개념입니다.
이는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없이도 검증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줍니다.
공개 키 암호화와 디지털 서명은 단순한 보안 기술이 아니라,
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"신뢰 없는 신뢰(trustless trust)"를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메커니즘 입니다.
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탈중앙적으로 공유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.